분류 전체보기510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swaggerConfig' defined in file 에러내용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swaggerConfig' defined in file [C:\Users\dbswh\IdeaProjects\프로젝트\shop\out\production\classes\com\project\shop\global\config\SwaggerConfig.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com.fasterxml.classmate.TypeResolver'.. 2022. 11. 21. JPA metamodel must not be empty! 에러내용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jpaAuditingHandler': Cannot resolve reference to bean 'jpaMappingContext' while setting constructor argument; nested exception is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jpaMappingContext':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ja.. 2022. 11. 18. [CS] GET 과 POST의 차이점 HTTP method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GET 과 POST 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 idempothent (멱등성) : 한번 호출해도, 몇번을 호출해도 그 결과는 똑같다 라는 것을 의미 먼저 쉽게 정리하자면 GET은 가져온다 라는 개념이며, POST 는 수행, 저장한다라는 개념이다. POST 를 내용을 수정하는 역할로 사용할 수 있지만, 수정은 보통 PUT 또는 PATCH 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GET method 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떤 리소르로 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소드이다. 이외에 수정, 삭제 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단순히 읽기만 하기 때문에 데이터변형에 안전하다. 데이터를 읽거나 검색 할때 사용되며, 요청을 전송할때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를 포함해 전.. 2022. 11. 18. attempted to assign id from null one-to-one property 에러내용 에러원인 one to one 의 속성에 null 값이어서 발생한 에러이다. 아래와 같은 구조에서 나타났다. 처음 매핑해보는 구현이라 시간이 오래걸렸다. 에러조치 현재 코드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Table(name = "goods") @Getter @Entity public class Goods extends BaseTim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goods_id") private Long id; //상품번호(PK) ... ... // pk 값 공유 @OneToOne (cascade =.. 2022. 11. 18. SSL HandShake 란 ? 아래 포스팅에 정리가 잘 되어있어서 이후 학습할때 아래 블로그를 참고 https://brunch.co.kr/@sangjinkang/38 HTTPS를 위한 SSL/TLS 핸드 셰이크 작동원리 안전한 웹을 위한 HTTPS | 인터넷에서 귀중한 내 정보를 어디론가 전달하거나, 열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포털 사이트에 내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하거나, 거래 은행 웹 brunch.co.kr 2022. 11. 17. [CS] HTTP와 HTTPS의 차이점 HTTP ( HyperText Tranfer Protocol ) 는 인터넷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응용계층(OSI 7계층 중 7계층 ) 에 속한다 암호화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중간에 패킷을 가로챌 수 있어 보안에 취약하며 80 포트를 사용한다. http://www.. 으로 시작한다 HTTPS ( HyperText Tranfer Protocol Secure) 는 HTTP와 동일한 방식에 웹 사이트에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HTTP 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이며, HTTPS 는 443 포트를 사용하고 제3자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암호화를 지원한다. https://www.. 으로 시작한다. 주소 창 옆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더욱 깊.. 2022. 11. 16. [CS] TCP 3, 4 way handshake 란? 먼저 TCP 는 OSI 7계층 중 4계층인 전송계층에서 사용한다. 전송계층에서는 TCP 와 UDP 가 있으며, TCP 에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려고 한다. TCP 3 way handshake 는 연결(가상회선 수립)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응답을 보낼 수 있는지,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낼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SYN, ACK 패킷을 주고받으며, 임의의 난수로 SYN 플래그를 전송하고 ACK 플래그에는 1을 더한값을 전송한다. 정리하면, SYN(n) -> ACK(n+1), SYN(m) -> ACK(m+1) 순으로 진행된다. 임의의 난수를 지정하는 이유는 1:1 통신으로 이루어 지는데 기존 요청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했다. TCP 4 way handshake 는.. 2022. 11. 14. No serializer found for class org.hibernate.proxy.pojo.bytebuddy.ByteBuddyInterceptor and no properties discovered to create BeanSerializer 에러내용 No serializer found for class org.hibernate.proxy.pojo.bytebuddy.ByteBuddyInterceptor and no properties discovered to create BeanSerializer 에러원인 개인프로젝트 중, 상품 이름으로 검색기능을 만드는 구현할때 발생했다. 상품이름으로 검색을 하면, imageRepository 에 있는 정보와 상품 정보를 가져와 JSON 형태로 가져와야했는데 500에러가 발생했다. 에러 메시지 확인해보니 직렬화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했으며 참조부분을 따라가보니 Image 엔티티의 goods 객체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에러조치 구글링을 통해 다른 블로그를 참조했다. 아래 참고 블로그를 보면 .. 2022. 11. 14. [CS] TCP/UDP 이란? OSI 7계층 중,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전송계층은 말 그대로,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한다.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컴퓨터간의 약속) 이 있는데 그것들 중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UDP 채팅 서버를 구현할 때 사용한다고해서 블로그 등을 찾아보게 되었다. 1.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TCP 는 전송을 제어하는 프로토콜이라는 뜻이다. -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TCP 의 특징 1. TCP는 가상 회선 방식을 제공한다. - 발신지와 수신지를 연결해서 패킷을 전송하기.. 2022. 11. 14.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