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10 JAVA 싱글톤, Spring 싱글톤에 대해. 스프링이나 디자인 패턴을 공부하면 싱글톤 패턴을 학습하고 어떤 의미인지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싱글톤은 인스턴스를 오직 한개만 제공하는 클래스입니다. 먼저, 몇가지 싱글톤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하는 이유와 주의해야할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JAVA 싱글톤 생성방법 첫 번째 방법입니다. 가장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static 을 통해 생성한 Singleton 은 클래스가 로드 될때 객체를 생성해 사용합니다. 해당 방법은 객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무조건 생성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객체 생성시에 예외처리가 불가능합니다. public class Singleton { // static 을 통해 class 로드될때 객체를 생성 .. 2023. 3. 23. OSIV ( Open Session In View ) 에 대해 알아보자. 김영한님의 JPA 활용 2편을 들으면서 OSIV 라는 개념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JPA 를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리팩토링 하는 과정에 들은 강의인데, 이전 학습할 때 한번도 듣지 못한 용어를 보게 되어 더욱 집중해서 보았던 것 같습니다. 현재 리팩토링을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도 API 만 구현하고 있지만 ADMIN 페이지는 아니기 때문에, false 로 변경하였습니다.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바로 실행시키면, 콘솔창에 아래와 같은 WARN 표시가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해당 표시는 ERROR 표시가 아니면서 실행에 아무런 영향이 없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넘어갔던 것 같습니다. 먼저, Spring.jpa.open-in-view 는 true , false 로 지정해줄 수 있습.. 2023. 3. 18. 자바 메모리 누수 원인 자바 메모리 누수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들이 GC(가비지 컬렉션) 에 의해 소멸되지 않고 누적되어 메모리의 공간을 차치하고 있는 현상입니다. 정리가 되지 않으면, 누적된 객체로 인해 프로그램의 응답속도가 늦어지면서 성능저하 및 프로그램이 뻗어버릴 수 있습니다. ( Out Of Memory ) 가비지 컬렉션의 동작하는 순서는 간단히 말하면, Young(Minor GC) 영역과 Old(Major GC) 영역을 통해 관리됩니다. Young 영역에서 대부분의 객체가 접근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많은 객체들이 해당 영역에서 소멸됩니다. Young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살아남은 객체들은 Old 영역으로 이동됩니다. 가비지 컬렉션을 실행하기 위해 Stop the World 라는 작업과, 사용 여부를 판단.. 2023. 3. 8. Jar 파일에 대해 김영한님의 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편을 보고 간단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강의를 직접 들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스프링부트로 생성한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Jar 파일이 생성됩니다. Jar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cmd 창에서 해당 프로젝트 경로로 들어가서 빌드를 합니다. gradlew clean build 를 입력하고 jar 파일을 찾아들어갑니다. build -> libs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oot-0.0.1-SNAPSHOT.jar 파일의 크기를 보면 약 18M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작지 않은 크기인데, jar 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압축을 푸는 방법은 jar -xvf boot-0.0.1-SNAPSHOT.jar 를 입력합니다. BOOT-INF 와 META-INF.. 2023. 3. 1. OkHttp 사용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2. 26. RestTemplate의 개념과 기본 사용법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HTTP 통신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는 템플릿입니다. HTTP 서버와의 통신을 단순화하고 RESTful 원칙을 지킬수 있으며 동기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REST 서비스를 호출하도록 설계되어 HTTP 프로토콜의 메소드에 맞게 여러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 스프링 5.0 이후 부터는 WebClient 를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07-25-resttemplate-webclient/ RestTemplate과 WebClient 이 글은 자바에서 HTTP 요청을 써봤거나 써보려고 하는 독자를 대상을 작성하였습니다.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에서 HTTP 요청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RestTemplate과 W.. 2023. 2. 26. JPA 벌크 연산 처리 방법 및 주의점 JPA 에서 벌크 연산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벌크 연산은 말 그대로 어떤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한번에 연산(수정)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장 중요한 개념은, 벌크 연산 시 SQL 을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1차 캐시를 거치지 않고 바로 DB 로 접근해서 값을 수정합니다. 따라서, 1차 캐시를 초기화 하지 않으면, 수정한 데이터의 DB 값과 1차 캐시에 있는 값의 정합성이 다르게 됩니다. 예시는 스프링 데이터 JPA 강의 및 QueryDsl 내용을 참고했습니다. 2가지 방법으로 나뉩니다. 스프링 데이터 JPA 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과 스프링 데이터 JPA 를 사용한 방법으로 나뉩니다. 먼저 첫번째 스프링 데이터 JPA 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예시는 정해진 age 보다 크거나 .. 2023. 2. 25. @queryProjection 이란 ? querydsl 프로젝트를 하면서 Dto 생성자에 @queryProjection 을 사용하는 코드를 보았습니다. 간단히, Q타입의 파일을 만들어주어, repository 에서 querydsl 코드를 작성할 때 도움을 주는 것으로 학습했는데,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먼저, Projection 은 select 절에 대상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즉 테이블에서 원하는 컬럼만 뽑아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Entity를 직접 사용하면 불필요한 데이터 값을 넘길 수 있는데, 원하는 컬럼만 뽑아 사용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할 수 있기에 충분히 사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편리하지만 아키텍처에 관련해 고려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Dto 클래스의 생성자가 QueryDsl 에 의존하게 됩니다. .. 2023. 2. 24. 리눅스 기본 명령어 정리 - 최신화(23.02.21) 프로젝트 진행 및 배포, 다른 다양한 작업을 하면서 리눅스를 사용할 일이 많아 질 거 같습니다. 이전에 프로젝트를 할 때, 찾아가면서 간단한 명령어만 사용했지만, 조금 더 능숙하게 해야 하는 것은 필수 인 것 같습니다. 여러 블로그를 통해 내가 써보았고, 경력있으신 분들이 자주 사용했던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폴더 이동 관련 - pwd : 현재 폴더 위치 조회 - cd [폴더경로] : 폴더로 이동 - cd ~ : 홈 폴더로 이동 - cd / : 최상위 폴더로 이동 - cd . : 현재 폴더 - cd .. : 이전(상위) 폴더로 이동 2. 폴더 위치 확인 - ls : 현재 위치의 파일 목록 조회 - ls -l : 파일의 상세정보 조회 - ls -a : 숨긴 파일 표시 - ls -t : 파일 생성 시간순.. 2023. 2. 2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