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T 기출문제 기준
1. 23년 12월 9일
2. 23년 9월 9일
개인적으로 공부할 요약본.
CBT를 풀면서 틀리거나 헷갈리는 문제의 풀이를 정리.
문제의 유형이 중복되어 겹치는 내용이 있을 수 있음.
- LVM 구성할때 가장 먼저 생성되는것
PV(Physical Volume) -> VG(Volume Group) -> LV(Logical volume)
- ALSA(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 사운드 카드를 자동으로 구성하게 하고 다수의 사운드 장치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
- CUPS(Common UNIX Printing System) : 애플이 개발한 오픈 소스 프린팅 시스템
- SANE (Scanner Access Now Easy) : 스캐너 관련 API
- OSS (Open Sound System) : 사운드를 만들고 캡쳐하는 인터페이스, 표준 유닉스 시스템콜(POSIX)에 기반을 둔다
- rpm 명령어
- --nodeps : 의존성 패키지 제거 옵션
- -e : rpm 의 패키지 제거 옵션
- 압축률 순서
- xz > bz2 > gz > compress (압축 파일 용량이 가장 큼)
- .xz = Jxvf
- .bz2 = jxvf
- .gz = zxvf
- compress = Zxvf
- c : 압축파일 생성
- x : 압축파일 해제
- t : 아카이브 내의 파일 목록 보기
- v : 자세한 정보 출력
- f : 파일 이름 및 디렉토리 지정
- rpm : 레드햇 **오프라인** 패키지 관리 도구
- dnf : 페도라(레드햇 계열) 온라인 패키지 관리 도구
- zypper : 수세 온라인 패키지 관리 도구
- apt-get : 데미안 온라인 패키지 관리 도구
- yum : 레드햇 계열
- / : 커서 위치부터 아래로 문자열 검색
- ? : 커서 위치부터 위로 문자열 검색
- n : 검색어를 찾은 다음 위치로 이동
- N : 검색어로 찾은 이전 위치로 이동
- vi : 빌 조이
- emacs : 리처드 스톨만
- vim : 브람 브레나르
- IDLE(python 개발 환경) : 귀도 반 로섬
- cron 분 시 일 월 요일(0시작)
- ctrl + c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종료
- ctrl + a : 입력 라인의 시작 부분으로 커서 이동
- ctrl + z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일시 중지 ( **포어그라운드 -> 백그라운드로 전환**)
- ctrl + d : 현재 터미널 세션 종료, 로그아웃
- inetd : **절전모드**
- standalone : **대기모드**
- ps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 bg : 중지된 작업을 다시 실행
- jobs : 현재 셸에서 **실행 중인 작업의 목록**(백그라운드, 포그라운드 모두 표시)
- exec : 셸 스크립트가 **다른** 프로세스로 대체
- fork : 새로운 프로세스를 위해 메모리를 할당받아 **복사본** 형태의 프로세스를 실행
- SIGINT: 2, <CTRL+C>, 종료
- SIGKILL: 9 강제종료
- SIGTERM: 15, kill 시스템 호출시, 가능하면 정상종료 시키는 시그널, kill 명령 기본 시그널
- SIGTSTP: 20, <Ctrl+Z>, 프로세스를 대기(suspend)로 전환
- /etc/bashrc : 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alias와 함수 설정
- /etc/profile : 모든 사용자에 적용되는 환경변수와 시작관련 프로그램 설정 지정파일
- ~/.bashrc :개인 사용자가 정의한 alias와 함수들이 있는 파일
- ~/.bash_profile : 개인 사용자가 정의한 alias와 함수 설정파일
- set : 옵션이나 인자없이 사용하면 선언된 변수 및 함수 출력
- printenv : 현재 쉘 환경의 **환경 변수**들을 출력
- env : 현재 쉘 세션의 **환경 변수**를 출력하거나, 변경된 환경에서 명령을 실행하는데 사용
- unset : 지정된 환경 변수나 함수를 제거하는데 사용 (**쉘 변수**)
- chsh (Change Shell) :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변경**하는데 사용
- shells :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셸의 목록을 보유하는 파일
- passwd : 시스템에 등록된 각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저장, 특정 사용자가 로그인 시에 부여되는 셸 정보
- /etc/fstab : 파일 시스템 테이블을 나타내는 파일 /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 부팅 시에 마운트할 파티션 정보 기록**
- /etc/mtab : 현재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에 관한 정보
- /proc/partitions : 현재 시스템에 있는 파티션 정보 제공
- du : **디렉터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 df : **디스크 공간**에 대한 정보
- quota : **디스크 사용량 제한** 및 현재 사용량
- lsblk : 블록 장치에 대한 정보를 **트리 형식**으로 보여줌
- blkid : 블록 장치에 있는 파일 시스템의 **UUID**와 **파일 시스템 유형**을 확인
- fdisk :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
- UUID : UUID를 생성하는 데 사용, UUID는 고유한 식별자
- SUID (Set User ID) : 4 / 실행파일
- SGID (Set Group Id) : 2 / 실행파일 + 디렉토리
- Sticky Bit : 1 / 주로 디렉토리에 사용
- Xen : 반가상화
- KVM : 전가상화
-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 및 관리
- ss : 소켓 통계
- netstat : 네트워크 상태와 관련된 다양한 통계
- mii-tool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미디어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하는 도구 / **네트워크 점검**
- telnet -u : **UDP** 모드로 telnet 실행
- telnet -n :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변환하지 않고 **주소로 처리**
- telnet -p : 원격 호스트의 **포트를 지정**
- telnet -l : 로그인 할 때 사용할 사용자 이름 지정 (**사용자 계정 관련**)
- chsh -l : 사용가능한 셸 출력
- chsh -s : 사용자 로그인 셸 변경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인터넷에서 TCP 포트번호 25번을 사용하여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이다. SMTP 하면 바로 메일을 떠오르자!
- SNMP: 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내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 IMAP: 원격 서버로부터 TCP/IP 연결을 통해 이메일을 가져오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POP3: 응용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 중 하나로, 원격 서버로부터 TCP/IP 연결을 통해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NFS (Network File System) :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임. 리눅스나 유닉스 시스템끼리 파일 공유할 때 주로 사용함.
- SAMBA : **윈도우 파일 공유 프로토콜**인 SMB/CIFS를 구현한 거임. 윈도우와 리눅스/유닉스 시스템 간에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줌.
- Gopher : 인터넷 초기에 사용되던 **정보 검색 프로토콜**임. 웹이 널리 퍼지기 전에 문서나 파일을 계층적으로 찾아볼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었지만, 지금은 거의 안 쓰임.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임. 웹 브라우저나 전용 클라이언트를 통해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 할 때 사용됨.
- A클래스: 0.0.0.0 ~ 127.255.255.255
- B클래스: 128.0.0.0 ~ 191.255.255.255
- C클래스: 192.0.0.0 ~ 223.255.255.255
- /etc/services :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포트**, 프로토콜 정보를 정의해놓은 파일
- /etc/protocols :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프로토콜 식별 번호를 정의해놓은 파일 (**파일X**)
- 1계층 물리 계층 - bit , 리피터 , 허브
-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 frame , 브릿지 , 스위치
-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packet , 라우터
- 4계층 전송 계층 - segment , 게이트웨이
- 응용계층 : 게트웨이, 프록시 서버
- totem - GNOME 데스크톱 환경의 기본 동영상 플레이어
- ImageMagicK - 오픈 소스 이미 처리 및 변환 도구
- Eog(Eye of GNOME) - GNOME 데스크톱 환경의 기본 이미지 뷰어
- Gimp - GNU 이미지 처리 프로젝트 약자. 오픈 소스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 bash : 키워드 (GNU 프로젝트)
- !? : 최근에 실행된 명령어
- !! : 직전에 실행된 명령어
- !* : 현재 명령 라인의 모든 단어 포함 명령 실행
- !- : 현재 명령보다 n번째 전에 실행한 명령 실행
- ps :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상태
- TOP : 운영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 프로세스 상태 황긴 ( **CPU 사용율 등**)
- JOBS : 작업이 중지된 상태
- 배포판별 패키지 관리 기본 패키지 관리 온라인 패키지 관리
- 래드햇 rpm / yum / dnf
- 데비안 dpkg / apt-get
- 수세 YaST / Zypper
- rpm -qi: information 패키지 정보 출력
- rpm -ql: list 패키지 파일들 출력
- rpm -qa: all 시스템의 모든 패키지 출력
- rpm -qf: file 특정 파일을 설치한 패키지명 출력
- 라이브러리 세트 (외우기)
- Xlib - XCB
- KDE - Qt
- GTK+ - GNOME
- LibreOffice Draw - 그림판
- LibreOfiice Writer - 워
- LibreOffice Calc - 스프레드시트
- LibreOffice Impress - 파워포인트
- IPv4 32bit
- IPv6 128bit
- MAC 48bit
- 평문사용으로 보안에 취약하지면 원격 접속이 된다 = Telnet
- 보안강화가 되며 원격 접속이 된다 = SSH
- 도메인이 나오면 /etc/hosts
- 도메인 없이 네임스페이스 IP 면 /etc/resolv.conf
- Hadoop = 대용량 데이터를 여러 머신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분산 파일 시스템
- R = 통계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 Cassandra = 분산형 NoSQL 데이터베이스
'자격증준비 > 리눅스마스터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마스터 2급 CBT 정리 (4) (0) | 2025.04.14 |
---|---|
리눅스마스터 2급 CBT 정리 (3) (0) | 2025.04.10 |
리눅스마스터 2급 CBT 정리 (2) (0) | 2025.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