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CBT 정리 (4)
22.06.11
- /etc/fstab 파일 마운트되는 옵션 정보 기록 순서 (45번 문제)
- 장치명 / 마운트 포인트 / 파일 시스템 종류 / 옵션(defaults) / 덤프 유무 / 파일 시스템 검사 유무
- 응용 계층 프로토콜 (55번 문제)
- (프로토콜) - (포트 번호)
- FTP - 20, 21
- SSH - 22
- Telnet - 23
- SMTP - 25
- DHCP - 67, 68
- TFTP - 69
- HTTP - 80
- POP3 - 110
- IMAP - 143
- SNMP - 161, 162
- 개념 _ IPv4의 클래스 별 범위 (58번 문제)
- A Class : 0.0.0.0 ~ 127.255.255.255
- B Class : 128.0.0.0 ~ 191.255.255.255
- C Class : 192.0.0.0 ~ 223.255.255.255
- D Class : 224.0.0.0 ~ 239.255.255.255
- E Class : 240.0.0.0 ~ 255.255.255.255
- 루프백 : 자기 자신을 검사하는 IP / 127.0.0.1
- 프로토콜과 관련된 포트번호 확인(61번 문제)
- /etc/services : **모든 프로토콜 , 포트번호**
- /etc/protocols : **사용가능한** 프로토콜
- 클래스별 IP특징 (72번 문제)
① A Class : IP 주소 첫 번째 부분의 1비트가 0
② B Class : IP 주소 첫 번째 부분의 2비트가 10
③ C Class : IP 주소 첫 번째 부분의 3비트가 110
④ D Class : IP 주소 첫 번째 부분의 4비트가 1110
⑤ E Class : IP 주소 첫 번째 부분의 4비트가 1111
- 네트워크 설정 (67번 문제)
-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하거나, 활성화/비활성화,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 route :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목적지까지 경로를 설정 및 관리하는 명령어
- ping : 네트워크 또는 호스트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 traceroute : 특정 네트워크 및 호스트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
- netstat :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 arp : ARP 테이블을 설정하고 확인하는 명령어
- ethtool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 라이브러리 (75번 문제)
- Xlib
- 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 라이브러리 X 서버와 대화 할 수 있음
-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한 반응 등 단순한 기능만을 갖음
- XCB
- Xlib 와 비교하여 향상된 쓰레딩 기능
- 확정이 뛰어나며 라이브러리 크기가 작고 단순
- X 프로토콜에 접근 가능
- 시스템 시작 시 부팅 설정 모드 관련 (80번 문제)
-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 Text 모드
-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 X 윈도 실행 모드